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진료시간안내

  • 월화목금 08:30 ~ 18:30
  • 수요일 08:30 ~ 13:00
  • 토요일 08:30 ~ 14:00
  • 점심시간 13:00 ~ 14:00

일요일/공휴일 휴진

031-966-0333


건강칼럼

홈으로_ 커뮤니티_ 건강칼럼

제목

겨울에도 방심하면 안 되는 자외선, 어떤 영향 주길래

image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이 지났지만, 여전히 한파가 기승을 부리는 상황이다. 이렇게 기온이 낮을 때면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는 만큼 보습이나 각질 관리에 신경을 쓰는 사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여기에 더해, 겨울철 피부 관리 시 간과하면 안 되는 것이 바로 자외선 차단이다.

겨울에는 햇빛이 여름만큼 강하지 않기 때문에 자외선이 약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자외선 자체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닌 데다, 자외선이 직접 닿는 피부와 눈 등에는 여전히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겨울철 자외선 차단을 소홀히 하면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어떻게 예방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자외선 a는 겨울에도 그대로…색소질환과 광각막염 부를 수도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크게 자외선 a(uva)와 자외선 b(uvb)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자외선 b는 여름철 따가운 햇살과 함께 피부에 닿아 피부를 태우고, 심한 경우 화상까지도 유발하곤 한다. 반면 흐린 날이나 겨울철에는 자외선 b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피부가 타는 것과 같이 육안으로 느껴지는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자외선 a의 경우, 날씨나 계절에 상관없이 일정한 양이 지표면에 닿는다. 유리창을 뚫고 실내로 들어올 만큼 파장이 길고 강력하다는 것이 특징인데, 피부에 닿을 경우 피부 표면뿐만 아니라 진피 깊은 곳까지 영향을 미치곤 한다. 피부 속 콜라겐을 파괴해 탄력을 저하시키고 주름을 유발하는가 하면, 기미 등의 색소질환을 유발하는 요인이 바로 자외선 a인 것이다.

하이닥 피부과 상담의사 이상민 원장(아이러브피부과의원)은 "겨울이라고 해서 자외선이 강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무리한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자칫 기미나 잡티, 주근깨 등의 색소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라며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인체가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고, 이것이 기미 등의 반점으로 나타나 외관상 보기 좋지 않게 느껴질 수 있다"이라고 설명했다.

게다가 눈이 잔뜩 쌓인 환경에서는 자외선의 반사가 더욱 심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보통 아스팔트 지면에서는 10% 정도의 자외선만 반사되지만, 눈은 80% 이상의 자외선을 반사한다고 알려져 있다. 겨울 스키장 이용 시 고글 사용이 필수인 이유도 여기에 있는데, 자칫 반사된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설맹'이라고도 불리는 '광각막염'이 찾아올 수 있어서다. 만약 스키장 등을 다녀온 후 눈부심이나 충혈, 안구 통증 등의 증상이 있다면 광각막염을 의심하고 병원을 찾을 것을 권한다.

자외선 차단제와 고글, 선글라스 등으로 예방해야
겨울철이라고 해도 자외선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는 힘든 만큼, 평상시 자외선을 꼼꼼히 차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외출 전에는 30분 전부터 미리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것이 좋으며, 2~3시간마다 자외선 차단제를 덧바를 것을 권한다. 특히 피부가 얇은 눈이나 입술 주변, 또는 상처가 있는 부위는 자외선의 영향을 더욱 크게 받을 수 있는 만큼 자외선 차단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만약 이미 자외선에 과도하게 노출되어 색소질환 등이 생겼다면, 자연스럽게 없어지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상민 원장은 "기미 등의 색소질환이 심하지 않을 때는 미백연고 등으로 약간의 호전을 기대할 수는 있지만, 이미 자리 잡은 상황이라면 자연적인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레이저 등을 이용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라며 평소 자외선 차단제를 통한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눈썰매장이나 스키장처럼 자외선 반사가 심한 곳에 가는 경우라면 더욱 꼼꼼한 예방이 필요하다.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것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고글이나 선글라스 등을 꼭 착용해 안구를 보호해야 한다. 보호 장비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경우라면 눈이 없는 녹지대를 번갈아 쳐다보면서 안구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는 것이 좋겠다.

안구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해 눈부심이나 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라면, 눈 주변에 차가운 수건 등을 대고 냉찜질을 하며 열감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후에는 병원을 찾아 항생제나 소염제를 처방받아 복용하고, 안약과 안연고를 투여하는 등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보통 3~4일, 길게는 일주일 이내에 완화되는 편이며,이 기간 동안에는 눈을 자극할 수 있는 렌즈 등은 가급적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도움말 =  이상민 원장(아이러브피부과의원 피부과 전문의)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