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진료시간안내

  • 월화목금 08:30 ~ 18:30
  • 수요일 08:30 ~ 13:00
  • 토요일 08:30 ~ 14:00
  • 점심시간 13:00 ~ 14:00

일요일/공휴일 휴진

031-966-0333


건강칼럼

홈으로_ 커뮤니티_ 건강칼럼

제목

유방암의 두 얼굴: 침윤성 유관암과 침윤성 소엽암의 차이는?

image

유방암은 여성에게 가장 흔한 암이지만, 모든 유방암이 같은 방식으로 자라거나 퍼지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침윤성 유관암과 침윤성 소엽암은 발생 위치와 성장 패턴이 뚜렷이 달라, 진단 방식과 치료 접근에도 차이가 생깁니다. 이름은 어렵지만, 차이를 이해하면 자신의 진단을 보다 명확하게 받아들이고 치료 과정에 대한 불안도 줄일 수 있습니다.

어디에서 시작되는 암일까?
침윤성 유관암은 유방 안에서 젖이 지나가는 관(유관)에서 발생해 주변 조직으로 퍼지는 형태입니다. 전체 유방암의 70~80%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흔한 유형입니다. 반면 침윤성 소엽암은 젖을 만들어내는 소엽에서 시작합니다. 전체 유방암의 10~15% 정도로 비교적 드물게 발생합니다.

보이는 모습과 진행 방식은 어떻게 다를까?
침윤성 유관암은 비교적 덩어리 형태로 자라는 경향이 있어, 유방에서 혹이 만져질 때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음파·유방촬영술에서도 비교적 명확하게 보입니다. 반면 침윤성 소엽암은 덩어리처럼 뭉쳐 자라기보다 넓게 퍼지는 형태입니다. 때문에 유방 전체가 단단해지거나, 모양이 미묘하게 변하는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영상 검사에서 잘 보이지 않아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단 검사에도 차이가 있을까?
침윤성 유관암은 일반적인 유방촬영술(맘모그래피)이나 초음파 검사만으로도 비교적 잘 확인됩니다. 하지만 침윤성 소엽암은 영상에 덜 뚜렷하게 보일 수 있어, 필요시 유방 mri를 추가합니다. 또한 양쪽 유방에 동시에 생길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전체 유방을 꼼꼼히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는 같은 방식일까?
두 암의 기본 치료 원칙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수술·항암치료·방사선치료·호르몬치료 등이 환자 상태에 맞춰 조합됩니다. 하지만 세부적인 치료 전략은 아형에 따라 달라집니다. 침윤성 소엽암은 여성호르몬 수용체(er·pr) 양성률이 높아 호르몬 치료 반응이 좋은 편입니다. 침윤성 유관암은 her2 양성, 삼중음성(triple-negative) 등 다양한 아형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맞춰 약제와 치료 전략을 세분화합니다.

예후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두 암 모두 조기 발견 시 좋은 치료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침윤성 소엽암은 암세포가 퍼지는 범위가 넓거나 재발 양상이 독특한 경우가 있어, 수술 범위를 결정할 때와 치료 후 추적 검사에서 더 세심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내 암의 성격'을 아는 것이 치료의 첫걸음
침윤성 유관암과 침윤성 소엽암은 이름은 비슷하지만 발생 위치·진단 난이도·치료 반응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어떤 암인지 정확히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치료를 받아들이는 과정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궁금한 점은 의료진에게 꼭 질문하며, 자신의 상태에 맞는 최적의 치료 전략을 함께 만들어 가시길 바랍니다. 유방암 치료는 혼자가 아니라 팀과 함께 가는 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