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진료시간안내

  • 월화목금 08:30 ~ 18:30
  • 수요일 08:30 ~ 13:00
  • 토요일 08:30 ~ 14:00
  • 점심시간 13:00 ~ 14:00

일요일/공휴일 휴진

031-966-0333


건강칼럼

홈으로_ 커뮤니티_ 건강칼럼

제목

"잔디밭에 눕지 마세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 'SFTS' 주의보

image

따뜻한 날씨가 계속되는 요즘, 산이나 공원 숲으로 나들이를 가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에 따라 주의해야 하는 것이 바로 '진드기 매개 감염병'이다. 질병 관리청에서는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발생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야외 활동 시 주의해야 하는 진드기 감염병 예방 수칙에 대해 내과 전문의 김량희 원장(베드로내과)과 함께 알아봤다.

예방법도 치료법도 없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급성 열성 바이러스 질환이다. 이 질환은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작은소진드기에게 물렸을 때 발생하는데 약 5~14일 이내, 38도 이상의 고열, 구토, 복통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이때 근육통, 오한, 피로감같이 몸살과 유사한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는 2013년부터 2024년까지 총 2,065명이 발생했고, 그중 사망자는 381명으로 약 18.5%의 높은 치사율을 보였다. 무엇보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예방법과 치료제가 없는 감염병으로 사전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 예방수칙 철저히 지켜야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질병관리청이 지난 18일 발표한 진드기 물림 예방 수칙은 다음과 같다.

1) 긴팔, 긴바지, 모자, 목기 긴 양말 등 야외 활동 및 농작업 시 진드기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장 착용하기
2) 진드기 기피제 사용하기
3)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4) 돗자리를 사용하고 사용한 돗자리는 반드시 세척하기
5) 외출 시 입은 옷은 세척하고 목욕하기
6) 외출 후 돌아와 머리카락, 귀, 팔, 다리 등 몸에 진드기가 붙었는지 확인하기

이와 관련해 김량희 원장은 "디에틸톨루아미드(deet)나 이카리딘(피카리딘) 성분이 포함된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면 진드기 접근을 막는 데 더욱더 효과적이라고 말하며, 만약 반려동물과 생활하는 경우 반드시 동물용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쯔쯔가무시병·라임병 등 치료제 있다고 안심할 수 없어
이 밖에도 주의해야 할 대표적인 진드기 감염병으로는 쯔쯔가무시병과 라임병이 있다. 쯔쯔가무시병은 1~2주의 잠복기 이후 오한, 발열, 두통 등 몸살과 유사한 증상과 림프절 비대 증상이 나타난다. 수일 후 몸통에 피부 발진과 결막 충혈 등의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제2의 에이즈'라 불리는 라임병은 3~30일의 잠복기에 거처 증상이 발현되는데, 초기에는 발열 오한, 근육통, 피로감과 함께 이홍동반(피부병변) 증상이 나타난다.

김량희 원장은 "쯔쯔가무시병과 라임병은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지만 증상을 방치할 경우 패혈성 쇼크나 다발성 장기부전, 심장 질환이나 신경계 이상 발생할 수 있고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조기 치료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물렸을 땐, 절대 손으로 떼지 말아야
갑자기 진드기에게 물렸을 때 놀란 나머지 손으로 바로 떼어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진드기가 피부를 물고 있거나 피부 표면에 단단히 부착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제거하면, 진드기의 일부가 피부에 남아 2차 세균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김량희 원장은 "진드기에게 물렸을 땐 몸에 붙은 진드기를 반드시 핀셋을 사용해 피부와 수직 방향으로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깨끗하게 소독한 뒤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