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시간안내
- 월화목금 08:30 ~ 18:30
- 수요일 08:30 ~ 13:00
- 토요일 08:30 ~ 14:00
- 점심시간 13:00 ~ 14:00
일요일/공휴일 휴진
홈으로_ 커뮤니티_ 건강칼럼
"BMI 기준 상향 필요할까?" 비만 진단, 신중한 접근 필요해② [비만 리포트]
오랫동안 비만 진단의 표준 지표로 사용되어 온 '체질량지수(bmi)'.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bmi 비만 기준을 상향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bmi 지표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대체로 의료계는 기존 기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bmi의 한계를 지적하며 보다 정밀한 비만 평가 방법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그렇다면 bmi는 얼마나 정확한 지표일까? 더 신뢰할 수 있는 비만 진단법이 있을까? 가정의학과 김양현 교수(고려대학교 안암병원)와 함께 비만 진단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bmi, 효과적인 지표지만 한계도 존재
bmi는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비만 정도를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는 지표다. 비만의 진단 기준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면서 다양한 정의가 제시되고 있지만, 김양현 교수는 "현재까지 학계에서 여전히 가장 널리 인정하는 기준은 bmi"라고 말한다. bmi는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정책적으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유용성이 크다.
bmi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25kg/m²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한다. 비만의 단계는 △25~30kg/m²을 1단계 비만 △30~35kg/m²을 2단계 비만 △35kg/m² 이상을 3단계 비만(고도비만)으로 구분한다.
다만, bmi는 체지방 분포를 정확히 반영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근육량이 많은 보디빌더는 건강한 신체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bmi 수치만으로는 비만으로 진단될 수 있다. 또한, 키가 극단적으로 크거나 작은 경우에도 bmi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사망률을 기준으로 bmi와 건강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때, 오히려 bmi가 25kg/m²보다 높은 경우에 사망률이 더 낮게 나타나는 '비만의 역설'이 관찰되기도 한다. 김 교수는 "이러한 현상은 흡연 여부 등 다양한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지만, bmi만으로 체지방을 정확히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전했다.
bmi 기준 상향 필요성 논란…"발전적인 논의 필요"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bmi 비만 기준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 이유는 비만 유병률 증가의 원인이 진단 기준이 낮게 설정된 데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양현 교수는 현재의 기준이 설정된 배경을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일반적으로 bmi 30kg/m²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하지만,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권에서는 25kg/m²부터 비만으로 본다. 2000년 who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인의 비만 기준을 서양보다 낮게 정의한 이유는 bmi 25kg/m² 이하에서도 당뇨병을 포함한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이는 같은 bmi라도 아시아인이 서양인보다 상대적으로 체지방률과 복부지방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2011년 'diabetes care'와 2016년 '란셋(lancet)'의 연구에서도 아시아인은 서양인보다 낮은 bmi에서 질병 위험이 증가하며, bmi 25~27.5kg/m² 구간에서 사망률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김 교수는 "비만을 정의하는 것이 질병의 위험을 예측하고 조기 개입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현재의 25kg/m²로 정의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강조하면서 비만 기준 상향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bmi의 한계, 종합적 평가로 보완해야
bmi 한계가 분명히 존재하고 논의가 필요한 부분도 있다면, 이를 어떻게 보완하면 좋을까? 김양현 교수는 bmi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허리둘레를 함께 살펴보기를 권했다. 허리둘레는 여러 연구에서 질환과의 연관성을 잘 반영하는 지표로 입증되었으며, 심혈관질환 등 비만과 관련된 합병증 위험을 평가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다. 국내에서는 허리둘레 기준으로 남성은 90cm 이상, 여성은 85cm 이상일 경우 복부비만으로 정의하고 있다.
비만과 동반되는 질환을 확인하고 이를 조기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간단한 신체계측 외에도 혈액학적 또는 영상학적 검사가 필요하다. 또한 우울증, 수면 문제 등 정신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을 함께 평가하는 것도 중요하다.
최근에는 허리둘레를 키로 나눈 '허리둘레/키(whtr)' 지표 등 여러 지표들이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김 교수는 "일부 지표는 계산식이 복잡하거나 연구와 과학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아 공식적인 진단 기준으로 활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체지방량을 간단히 볼 수 있는 체성분 분석이나 dexa와 같은 검사를 통해 신체 구성을 자세히 분석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일상적으로 활용하기 어렵다.
김 교수는 "국내에서 비만과 관련한 좋은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며 "이러한 연구들이 잘 모아진다면 비만에 대한 새로운 진단과 치료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bmi 기준 변경은 충분한 연구와 전문가들의 합의를 바탕으로 신중히 이루어져야 한다"며 다시 한번 발전적인 논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비만 유병률 증가는 전 세계적인 트렌드로, 기준을 바꾸기보다는 비만 증가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개입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비만을 단순한 미용 문제가 아닌 질병으로 인식하고, 보다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움말 = 김양현 교수(고려대학교 안암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