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진료시간안내

  • 월화목금 08:30 ~ 18:30
  • 수요일 08:30 ~ 13:00
  • 토요일 08:30 ~ 14:00
  • 점심시간 13:00 ~ 14:00

일요일/공휴일 휴진

031-966-0333


건강칼럼

홈으로_ 커뮤니티_ 건강칼럼

제목

밤마다 다리에서 느껴지는 이상 감각...'하지불안증후군'이란?

image

밤에 잠들기 전 허벅지, 장딴지, 발에서 벌레가 기어다니는 것처럼 이상한 감각이 느껴지거나,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강한 충동이 일어난다면 하지불안증후군이 원인일 수 있다. 하지불안증후군은 국내 성인 인구의 약 5% 정도가 겪고 있는 신경계 질환으로, 나이가 들면서 유병률이 증가하고 여성에게서 더 빈번히 나타난다.

하이닥 신경과 상담의사 오경필 과장(메디인병원)은 "하지불안증후군 자체가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하지는 않지만, 불면증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삶의 질이 떨어지거나 만성적인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라면서 꾸준한 치료와 생활습관의 교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리에서 느껴지는 불쾌한 느낌...불면증으로 이어져
하지불안증후군이란 밤이나 휴식 중에 다리나 팔, 손, 몸통 등에서 이상감각을 느끼고, 이를 완화하기 위해 움직이고 싶은 욕구를 느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서 이상 증상을 느낄 수 있지만 주로 다리에 벌레가 기어다니는 것 같은 느낌이 들고, 쑤시거나 따끔거리기도 하며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차갑거나 시린 증상, 열감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부분 다리에 나타나는 이상 증상이기 때문에 연관 질병과 혼동되기도 한다. 오경필 과장은 "하지불안증후군은 하지정맥류, 야간 하지 경련, 허리 디스크, 말초 신경병증, 불안장애 등과 혼동될 수 있지만 주로 잠들기 전, 야간에만 증상이 나타난다면 하지불안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하지정맥류와 다른 점은 다리를 움직이고 싶다는 충동의 유무다. 또한 하지불안증후군은 다리를 움직이거나 주물러주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호전되기도 한다.

철분 결핍, 도파민 이상과 연관...유전적 영향도 높아
하지불안증후군의 발병 원인은 도파민 부족, 철분 결핍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오경필 과장은 "원인이 완전히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저녁 시간 대일 수록 도파민과 철분의 체내 양이 감소하면서 하지불안증후군의 증상이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 멜라토닌 분비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라고 설명했다.

유전의 영향도 크다. 가족 중에 하지불안증후군이 있는 경우 발병 확률이 50%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임신처럼 호르몬 변화가 심해지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요독증이나 신장 투석 등 신장 질환이나 당뇨병, 파킨슨병 등의 질환이 있는 경우에 동반되기도 한다.

연관 질환 없다면 약물치료 고려...생활습관 교정도 효과적
하지불안증후군의 치료를 위해서는 우선 내과적 원인 감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혈액 검사를 시행하고 필요하면 추가 검사를 고려할 수 있다. 오경필 과장은 "철분 결핍이나 말초 신경병증, 신장질환과 같은 연관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질환을 치료했을 때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라고 전했다. 이어 "연관 질환이 없다면 약물치료가 필요할 수 있는데, 주로 도파민 시스템에 작용하는 도파민 효현제 또는 안정제, 항경련제 등 약물이 사용된다"라고 설명했다.

만약 하지불안증후군이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생활습관 교정만으로 좋아질 수 있다. 오 과장은 "마사지나 찜질, 족욕이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족욕 시에는 찬물과 뜨거운 물을 번갈아가면서 해주면 효과적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평소 수면 위생 관리에 신경 쓰고, 30분 이내로 유산소 운동을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운동은 과하게 하는 것보다는 평소 심박수보다 2배 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라고 전했다.

또한 하지불안증후군운 스트레스와도 연관이 있으므로, 증상 완화를 위해서 잠자기 전 1시간 정도 요가나 명상,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 오 과장은 "담배나 술, 카페인 식품은 주의하고 철분이 많이 든 음식 섭취도 권장한다"라고 조언했다.

도움말 = 오경필 과장 (메디인병원 신경과 전문의)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